기후 위기와 환경오염은 이제 특정 국가나 지역의 문제가 아닌, 전 세계가 함께 해결해야 할 문제입니다. 특히 산업 발전과 인구밀집이 빠르게 이루어진 아시아는 특히나 환경에 미치는 영향이 크기 때문에, 그만큼 변화의 가능성도 큽니다. 이 글에서는 아시아의 환경운동 현황과 이를 이끄는 환경단체, 정부정책, 시민들의 친환경 실천 사례를 상세하게 알아보겠습니다.
환경단체의 역할과 성장
아시아 각국의 환경운동은 긴 기간동안 시민들의 자발적 참여와 환경단체의 꾸준한 노력으로 진화해 왔습니다. 단체는 한국의 환경운동연합, 녹색연합, 일본의 FoE Japan, 인도의 CSE (Centre for Science and Environment), 중국의 Friends of Nature 같은 단체들이 대표적이며, 이들은 지역 현안 해결을 넘어서 국제 연대 활동에도 활발히 참여하고 있습니다. 한국에서는 ‘기후위기 비상행동’과 같은 전국적 연대체가 형성되어 있으며, 10대 청소년부터 시니어 세대까지 모두가 참여하는 기후 집회가 정기적으로 열립니다. 또한 미세먼지 문제 해결을 위한 학부모 중심의 시민단체도 늘어나고 있으며, 이들은 지역 교육청 및 지방정부와 협업하여 친환경 교육과 교통개선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일본은 ‘후쿠시마 원전 사고’를 계기로 환경에 대한 경각심이 급격히 높아졌으며, 다양한 비영리단체가 방사능 폐기물 관리, 에너지 자립, 산림 보존 운동을 주도하고 있습니다. 일본의 NGO들은 체계적인 리서치 보고서 발행과 정책 로비를 통해 실제 입법에 영향을 주기도 합니다. 인도에서는 대기오염과 수질오염에 대한 경고가 오래전부터 이어졌으며, 특히 ‘야무나 강 정화운동’, ‘델리의 대기질 개선 캠페인’은 전 국민적 참여를 이끌어낸 성공적인 사례라고 볼수 있습니다. CSE와 같은 전문 연구기관은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정책 제안으로 정권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고 있고, 도시민과 농민을 연결한 생태운동도 활성화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환경단체들은 정부와의 파트너십, 글로벌 NGO와의 협업, 기업 CSR 프로젝트 참여 등 다양한 형태로 확대되고 있습니다. 또한 디지털 플랫폼을 활용한 온라인 서명, 크라우드 펀딩, 환경교육 콘텐츠 제작 등을 통해 대중의 참여를 높이고 있습니다.
정부의 정책적 노력
아시아 국가들의 정부 또한 이제는 환경 문제를 선택이 아닌 국가 생존 필수 전략으로 인식하고, 적극적인 정책을 도입하고 있는 추세입니다. 한국 정부는 2021년 '탄소중립 기본법'을 세계 최초로 입법화하여, 국가 차원의 기후변화 대응을 법제화하였고, 2050년까지 탄소중립 실현을 국가비전으로 삼고 있습니다. 이와 함께 태양광, 풍력 등 재생에너지 비율을 30% 이상으로 끌어올릴 계획을 추진중이며, ‘그린뉴딜’을 통해 친환경 산업에 대규모 투자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일본 정부는 탄소중립 실현을 위해 전통적인 산업구조에서 탈피해 수소 에너지 및 차세대 원자력 기술 개발에 투자하고 있습니다. 특히 일본의 대기업들은 ESG경영에 적극 참여하고 있으며, 대중교통 전동화, 건축물 제로에너지화 등 다양한 정책을 병행하여 운영 중에 있습니다. 중국은 전 세계 온실가스 배출 1 위국이지만, 동시에 가장 많은 재생에너지 인프라를 갖추고 있는 나라입니다. 2060년 탄소중립 선언 이후, 수많은 석탄 발전소가 폐쇄되고 있으며, 광활한 국토를 활용한 태양광 및 풍력발전 단지 건설이 본격화되고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환경감시 드론, 스마트 수질관리 시스템 등 기술을 활용한 환경 모니터링이 강화되고 있으며, 환경법 위반 시 강력한 처벌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인도 정부는 세계 최대 재생에너지 시장 중 하나로 부상 중이며, ‘국가 전기차 정책’(FAME II)과 같은 친환경 교통정책도 가속화하고 있습니다. 또한 기후교육을 정규 교육과정에 편입하고, ‘에너지 절약 주간’ 등 캠페인을 통해 시민 인식을 제고하고 있습니다. 이처럼 각국 정부는 자국의 산업·문화적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전략을 통해 환경정책을 수립하고 있으며, 국제 기후 협약 이행에도 적극적입니다. 정부 정책이 실질적 효과를 내기 위해서는 시민, 기업, NGO와의 협력이 필수적입니다.
친환경 실천 사례와 시민 참여
시민의 적극적인 참여는 친환경 운동에 현실적 변화를 이룰 수 있는 가장 강력한 방법입니다. 다행히도 아시아 각국에서는 시민들의 의식 변화와 참여가 점차 확산되고 있어 긍정적인 영향 또한 퍼져나가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한국의 경우 제로웨이스트 샵, 비건 소비, 중고 거래 플랫폼 활성화 등 개인이 실천할 수 있는 친환경 소비문화가 확산 중입니다. 특히 MZ세대를 중심으로 플로깅, 텀블러 사용, 버스/지하철 이용 확대 등의 행동이 일상화되고 있으며, SNS를 통해 자발적인 환경 챌린지가 퍼지고 있습니다. 일본은 ‘환경선진국’으로 불릴 만큼 생활 속 분리수거와 에너지 절약이 잘 정착되어 있습니다. 예를 들어 음식물 쓰레기를 줄이기 위한 지역 푸드 셰어링 플랫폼, 고령층의 환경 가드너 자원봉사 활동, 그리고 지방자치단체 중심의 ‘지속가능한 마을 만들기’ 프로젝트 등이 시민 참여를 이끌고 있습니다. 인도에서는 오랜 전통과 연결된 생태적 가치관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하여 환경운동으로 연결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힌두교의 ‘자연 숭배’ 전통을 기반으로 한 나무 심기, 강 정화, 절전 생활 실천 등이 전국적으로 확산되고 있으며, 특히 농촌 지역에서는 마을 단위의 ‘에너지 자립 커뮤니티’ 구축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습니다. 또한 기후교육 강화를 통해 유아기부터 환경 감수성을 키우는 교육이 보편화되고 있으며, 다양한 환경 관련 공모전, 체험학습, 청소년 환경동아리 등이 활발히 운영되고 있습니다. 이처럼 친환경 실천은 이제 특정 계층의 선택이 아닌, 전 세대와 사회 전반의 공동 실천 과제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아시아의 환경운동은 각국의 문화와 현실에 맞춰 다양한 방식으로 전개되고 있으며, 그 중심에는 환경단체의 열정과 정부의 정책적 지원, 그리고 시민들의 적극적인 참여가 있습니다. 환경보호는 이제 소수의 선택이 아닌 모두의 책임입니다. 우리의 일상 속 작은 행동이 기후 위기를 막는 큰 힘이 될 수 있습니다. 오늘부터 실천 가능한 친환경 습관을 하나씩 늘려보는 것는 것을 목표로 하도록 합니다.